광릉수목원 방문 후기 :홈페이지 입장료 이용가능시간까지

서울에서 당일치기 토요 여행으로 부담 없어 더욱 인기 있는 광릉수목원, 매번 마음만 먹다가 이번에 다녀왔습니다.

광릉수목원 이용가능시간

  • 휴원일 : 월요일, 1. 1일, 설, 추석 당일, 일요일(1월, 2월, 12월)
  • 입장시간 : 하절기 (4~10월) 09:00~17:00, 동절기(11월~3월) 09:00~16:00
  • 입장인원 : 화~금요일 5,000명, 토요일 3,000명

광릉 수목원 예약 없이  입장 가능한 사람

: 대중교통이나 자전거 또는 걸어서 오시는 경우, 관할 구역에 주소나 거소를 가지신 주민의 경우에는 사전 예약 없이 입장할 수 있습니다. (평일 3,000명, 주말 4,500명)



광릉수목원 입장료 이용요금

광릉수목원
  • 입장료 : 1인당 1,000원, 학생. 군인 700원, 어린이(12세 이하) 500원
  • 주차비 : 버스 5,000원, 승용차 3,000원, 경차 1,500원
  • 주소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415(소흘읍 직동리 51-7)

광릉수목원 예약하기 홈페이지

국립수목원 – 수목원안내 > 예약하기 > 예약하기
kna.forest.go.kr

광릉 수목원은 국립수목원이기 때문에 국립수목원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예약하기를 하셔야 입장 가능합니다.

국립수목원 예약하기

국립수목원 홈페이지(www.forest.go.kr)에 접속해서

우측 수목원 입장 예약하기를 클릭하셔서 예약을 하시고

문자로 확인을 받으신 다음 입장하시면 됩니다.

광릉수목원 회원가입

예약을 하려면 회원가입을 먼저 꼭 하셔야 합니다. 

개인일 경우 개인 예약을 클릭, 단체는 단체를 클릭해야겠지요.

날짜와 인원을 선택하고 결제하기

국립수목원 입장료

예약을 하고 결제문자를 받고 당일 현장을 방문했을 때 매표소에서 입장권으로 교체를 받고 입장합니다. 주차비는 관람 후 무인 정산기에서 정산을 하시고 출발하셔야 합니다.

광릉 수목원 주차장

주차장이 넓게 조성되어 있으나 주말에는 주차할 자리가 없을 정도로 만차가 된답니다. 그래서 예약할 때 승용차로 오는지 다른 방법으로 오는지 확인도 합니다.

광릉수목원 소개

광릉 수목원 안내판

광릉 수목원은 국리부목원이란 정식 명칭이 있으며 조선시대 세조대왕의 능림(광릉)으로 지정된 이래 540여 년 이상 자연 그대로 보전되어 오고 있으며 전문 전시원은 1984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하여 1987년 완공되었으며, 식물의 특징이나 기능에 따라 22개의 전시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87년 4월 5일 개관한 산림박물관은 우리나라 산림과 임업의 역사와 현황, 미래를 설명하는 각종 임업 사료와 유물, 목제품 등 4,900점에 이르는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매표소

국립수목원 어린이 정원

국립수목원의 매표소에서 다리를 건너면 왼쪽으로 보이는 곳이 어린이 정원입니다. 이곳 어린이 정원은 자연 숲에서 나무, 새, 그리고 곤충을 친구 삼아 어린이들이 자연생태계와 식물을 그들의 눈높이에서 직접체험할 수 있도록 에듀테인먼트 공간으로 야생화원, 한 뼘 화원, 안개정원, 거북섬 등 14개의 주제원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어린이공원

국립수목원의 손으로 보는 식물원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공간으로 후각, 촉각 등의 감각을 통해 식물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만든 공간입니다. 허브식물로는 로즈마리, 라벤더 등 40여 종 과 향기 나는 식물인 정향나무, 누리장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으며 각각 점자 표찰로 식물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점자표찰

광릉수목원 난대식물원

남쪽 도서 및 남해안에 자생하는 온대남부와 난대식물들을 보존하는 온실로 상록활엽수인 팔손이, 돈나무, 유자나무 등과 외국 수종인 커피나무, 병 솔 꽃나무 등이 있으며, 식충식물인 네펜데스, 자란, 새우란 등이 있습니다.

국립수목원 난대식물원

국립수목원 약용식물원

국립수목원 약용식물원

국내.외 약용식물에 대한 올바른 이용정보를 전달하고자 조성된 공간으로 인류와 약용식물의 역사, 인체 부위별 약용식물, 생활 속의 약용식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독활, 삼지구엽초(음양곽)
택사, 석창포

국립수목원 아열대식물 전시원

이곳 아열대식물 전시원은 입장 시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안내자의 인솔 하에 입장이 가능합니다. 

국립수목원 아열대식물 전시원
숲의 천이

숲의 천이 : 숲을 이루는 동식물의 종류와 경쟁구조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여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바뀌어 가는 과정을 숲의 생태적 천이라고 합니다. 

광릉물푸레나무

광릉 물푸레나무는 1931년 나까이 교수가 바로 여기서 처음발견하여 신종으로 기재, 명명한 기준표본 목입니다. 이 나무로 인하여 광릉물푸레란 종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져 의미 있는 나무라고 합니다.

광릉 물푸레나무 표본목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국립수목원의 산림박물관은 1987년4월5일 개관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산림과 임업의 역사와 현황, 미래를 설명하는 각종 임업 사료와 유물, 목제품 등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귀공포

귀공포 : 전통 목조건축에서 처마 끝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 같은 데 짜 맞추어 댄 나무 부재로, 건물의 가장 중요한 의장적(아름다움) 표현으로서 장식의 기능도 겸하고 있는 건축입니다.

바닥을 노니는 영상

광릉 크낙새

  광릉 크낙새는 천연기념물 제197호이며,  정식 명칭은 흰배딱따구리입니다. 1974년 광릉에서 한쌍이 발견되었으나 그 후로는 크낙새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아마도 절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1993년 광릉에서 목격된 것이 공식적인 마지막입니다. 2017년 7월 환경부에서 크낙새는 절멸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멸종위기종 목록에서 제외하였습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북한에 20여 마리가 남아 있다고 알려져 있고 남북한 공동연구로 다시 들여올 계획이라고 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