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가볼만한곳 추천 : 경주 대릉원 여행 정보

경주대릉원 경주 천마총 다시봐서 감회가 새롭던 여행지들입니다.

경주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찾는 대릉원 입장료, 주차비 그리고 천마총 주변의 맛집과 가볼만한 곳을 적어봅니다. 

본 포스팅은 2021-04-07에 제가 작성한 내용을 옮긴것 입니다.



경주 대릉원 입장료 

위치 : 경북 경주시 계림로 9

대릉원 입장료 : 성인 기준 1인당 3,000원

주차비 : 2시간에 2,000원 1시간 초과마다 1,000원 추가 요금을 받습니다.

경주 대릉원 입장료

경주 대릉원의 개방 시간은 09:00입니다.

어떤 분들은 아침 일찍 와서 들어가면 안 되냐고 하시기도 하는데…

아침 9시 넘어야 개방을 하니 참고하시고 출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경주 대릉원 입장료

관람요금 안내에 나와있던 경주 대릉원 입장료는 어른 1명당 3,000원입니다.

65세 이상은 무료관람이 가능하고요(신분증 지참),

또한 경주시민은 무료관람입니다.

경주 대릉원 입장료는 카드결제가 가능해서 편리한듯. 

대릉원 소나무

경주 대릉원 역사

경주의 능들은 신라시대의 능으로 오랜 세월 풍파를 이겨내고 버텼지만



많이 훼손되었던 것을 다듬고 가꾸어서 지금에 이르고 있네요.

아래의 경주 대릉 옛 모습 사진을 보면

경주 대릉 옛 모습

보존가치가 있는 것을 모르고 마치 뒷동산인 양 

어린이들이 썰매를 타고 놀거나 능을 벽 삼아 집을 짓고 살았던 것 같네요.

대릉원으로 복원하기 시작하면서 집을 철거하고 잔디를 다시 심고 나무를 심고 가꾸어 지금의 대릉원으로 탄생했습니다.

미추왕릉

사적 제175호 미추왕릉으로 신라 최초의 김 씨 왕으로 여러 차례 백제의 공격을 막아내고 농업을 장려하였던 신라 13대 왕입니다.

미추이사금(재위262 ~ 284)의 무덤으로 높이가 12.4m. 지름이 56.7m의 둥글게 흙을 쌓아 올린 원형 봉토 무덤이고, 담장을 돌려 무덤 전체를 보호하고 있네요.

대릉원이라는 말이 나온 무덤으로 284년에 승하해서 ‘대릉에 장사를 지냈다’라는 기록이 있어 여기에서 따온 말인 것 같습니다.

미추왕릉

삼국사기에 미추왕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있는데

유례왕 14년(297년)에 신라가 이서국의 공격을 당하여 위급한 상황에 처하자 대나무 잎을 꽂은 군사가 나타나 적을 물리치고 사라졌다는 것이다.

그 후 누군가 미추왕릉에 대나무 잎이 수북이 쌓인 것을 보고 미추왕이 죽어서도 신라를 도왔다고 하여

미추왕릉을 죽장릉, 죽헌릉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고분군

신라시대의 고분군으로 고분들이 모두 평지에 자리 잡고 있는 신라시대만의 독특한 무덤군으로 총면적은 약 181,627평으로 신라의 왕, 왕비, 귀족 등의 무덤이 모여있습니다.



본래는 경주 노동리 고분군, 경주 노서리 고분군,

경주 황남리 고분군, 경주 황오리 고분군,

경주 인왕리 고분군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2011년 7월 28일 문화재청이 역사성과 특성을 고려하여 경주평야 한복판에 서로 인접해 있는 신라시대의 고분군을 통합하고 사적 제512호로 재 지정하였습니다.

천마총

경주 천마총

천마총은 1973년에 발굴조사를 하는 도중 금관, 팔찌 등의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말의 안장 양쪽에 달아

늘어뜨린 장니에 그려진 말(천마) 그림이 출토되어 천마총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천마총

2018년 천마총을 리모델링하여 깔끔하게 정리를 하였네요.

예전에는 경주 황남동 제155호분이라고 하였으나 1973년 발굴 조사를 한 다음부터는 천마총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천마총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지증왕이라고 추정만 하고 있을 뿐입니다.

천마총 금관

천마총에서 출토된 높이 32.5㎝의 전형적인 신라 금관으로 묻힌 사람이 쓴 채로 발견되었습니다.

금관은 머리 위에 두른 띠 앞면 위에는 山자형 모양이 3줄로 4단을 이루고 있으며, 뒷면으로 사슴뿔 모양이 두 줄로 있는 형태네요.

금관 전체에는 원형 금판과 굽은 옥을 달아 장식하였고, 금실을 꼬아 늘어뜨리고 금판 장식을 촘촘히 연결하기도 하였네요.밑으로는 나뭇잎 모양의 늘어진 드리개 2가닥이 달려 있기도 합니다.

천마총

금동투조 말안장 앞뒤 가리개. 신라의 화려한 기마문화를 증명하듯이 금동 말안장입니다.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동 말안장은 사람이 말을 탈 때 말 잔등을 보호하고, 사람에게는 편하게 탈 수 있는 말갖춤류로

제작은 나무로 안장 틀을 짠 뒤 정교하게 투조(뚫어 만듦) 기법으로 제작된 금동제 안장 앞뒤 가리개 1쌍으로 신라 마립간 시대 최고위층만이 타고 위세를 부릴 수 있는 위세품입니다.

대릉원 고분군

대릉원의 고분들에는 누가 묻혀있는지 분명하지가 않고

남분과 북분의 쌍릉으로 눌지왕릉일 가능성이 많다고들 하는데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는 것입니다.

경주에 전해지는 왕릉들은 대부분 문중에서 임의로 정해서 부르는 것이기 정확하지 않습니다.

역사의 기록에 나오는 무열왕릉, 선덕여왕릉, 흥덕왕릉 등은 정확하나 나머지는 모두 추정일 뿐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합니다.

경주 대릉원 입장료 +주차장 정보

대릉원 주차비

경주 대릉원 입장료와 별도로

자가용 이용시 주차비는 기본 2시간에 2,000원이고, 매 1시간 추가할 때마다 1,000원씩 추가됩니다.

평일 오전에 갔는데도 주차장이 거의 만차가 되어 도로에서 길게 줄지어서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경주 대릉원 주변 맛집으로 쌈밥집 과 경주빵 집들이 성업 중이랍니다.

대릉원 주변에는 모두 쌈밥집과 보리빵, 황남빵집들만 널려있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